싱가포르 K-뷰티 진출 로드맵: 법인 설립부터 자사몰 확장까지

왜 싱가포르인가? — K-뷰티 수요와 시장 근거

싱가포르는 인구 규모가 크지 않지만, 2024년 기준 총인구는 약 604만 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2% 증가한 수치로, 특히 비거주자의 유입이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2025년 중간값 기준으로는 약 587만 명으로 추정되며, 단일 도시국가임에도 상당한 소비 기반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와 같은 제한된 인구 규모에도 불구하고, 싱가포르는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소비 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IMF 자료에 따르면 1인당 GDP는 약 8만 2천 달러로 아시아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높은 구매력은 스킨케어 및 프리미엄 화장품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K-뷰티 제품에 대한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또한 Daily Vanity의 조사에서도 나타나듯, 싱가포르 소비자들이 신뢰하는 화장품 브랜드 상위 10위 안에는 꾸준히 이니스프리와 라네즈 같은 한국 브랜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K-뷰티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안정적인 브랜드 신뢰를 확보하고 있음을 입증합니다.

 

더불어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전체 시장으로 확장하기 위한 전략적 거점입니다. 이미 K-뷰티는 동남아 뷰티 시장에서 12%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했으며, 인도네시아와 태국 등에서는 온라인 판매가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K-Pop과 K-Drama를 중심으로 한류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한국 화장품은 싱가포르 소비자들에게 높은 인지도와 긍정적 이미지를 쌓아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기반은 싱가포르를 거점으로 삼아 동남아 전역으로 K-뷰티를 확산시키기에 유리한 토대를 제공합니다

 

  • 소비자 신뢰: Daily Vanity(2024) 조사에 따르면, 싱가포르 소비자들이 가장 신뢰하는 화장품 브랜드 TOP10 안에 Innisfree(이니스프리), Laneige(라네즈) 등 한국 브랜드가 꾸준히 포함.

  • 구매력: 싱가포르 1인당 GDP는 약 USD 82,000 (IMF, 2024 기준)으로 아시아 최고 수준. 프리미엄 뷰티 제품에 대한 소비 여력이 크고, 뷰티 제품 1인당 연간 소비 지출액은 홍콩·일본과 비슷한 상위권에 속함.

  • SEA 확장성: K-뷰티는 동남아 전체 뷰티 시장 점유율 12% 이상 확보. 인도네시아·태국 등에서 온라인 판매가 급성장 중이며, 싱가포르는 이들 국가로 직접 진출하기 전 테스트베드이자 허브 역할을 수행.

  • 문화적 요인: K-Pop, K-Drama의 영향으로 한국 뷰티 브랜드 인지도 및 호감도가 이미 높은 상태. SNS 기반 소비자 확산력도 강점.

어디서 팔아야 할까? — 이커머스 플랫폼 전략

싱가포르의 이커머스 시장은 플랫폼별 특성이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습니다. 가장 대중적인 선택지는 Shopee입니다. Shopee는 싱가포르 및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가장 많은 트래픽을 보유하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이 있는 대중 제품을 판매하는 데 유리합니다. 빠르게 매출과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려는 초기 단계 기업에게 최적의 선택입니다.

최근에는 Tik Tok Shop이 MZ 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숏폼 영상을 기반으로 한 바이럴 효과가 크기 때문에 신제품 런칭이나 트렌디한 아이템 판매에 효과적입니다. Tik Tok Shop은 특히 K-뷰티의 ‘영상 친화적’ 특성과 잘 맞아떨어집니다.

Lazada는 비교적 프리미엄 지향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브랜드 스토리와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에, 성장 이후 단계에서 중장기적 브랜딩을 강화하려는 기업에게 적합합니다.

마지막으로 자사몰(Shopify 등)의 구축은 장기적으로 반드시 필요합니다. 자사몰을 통해 고객 데이터를 직접 확보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재구매율을 높이며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계적으로는 초기에는 Shopee와 Tik Tok Shop을 통해 시장 진입과 매출 성장을 이루고, 이후 Lazada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 마지막으로 자사몰 확장을 통해 장기적 자산화를 실현하는 전략이 바람직합니다.

  • Shopee: 트래픽 1위, 대중 제품 판매에 유리. 빠른 매출·인지도 확보에 최적.

  • Tik Tok Shop: MZ 세대 중심, 숏폼 영상 기반 바이럴 강점. 신제품·트렌디 제품 런칭에 효과적.

  • Lazada: 프리미엄 지향 고객층,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유리.

  • 자사몰(Shopify 등): 장기적으로 브랜드 데이터·고객 재구매 관리에 필수.

단계적 접근: 초기엔 Shopee ·Tik Tok Shop → 성장 후 Lazada → 브랜드 안착 시 자사몰 확장.

실행 로드맵 — 무엇부터 준비해야 할까?

1. 싱가포르 법인 설립 및 은행 계좌 개설

  • 외국인도 100% 지분 소유가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Private Limited(Pte. Ltd.) 형태를 선택합니다.
  • 법인 설립은 보통 1영업일 내외로 완료되며, 이후 법인 명의의 은행 계좌를 개설해야 매출 수금 구조가 완성됩니다.
  • 실제로는 은행 계좌 개설까지 포함해 약 1~2개월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 https://blog.naver.com/premia_tnc/223736029834?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2. CorpPass(코패스) 등록

  • CorpPass는 싱가포르 기업 인증 시스템으로, 모든 정부 전자 포털 접근에 필수입니다.
  • HSA(보건과학청) 제품 등록이나 Customs(세관) UEN activation을 진행할 때도 CorpPass 인증을 사용합니다.


3. UEN(Unique Entity Number) Activation

  • 법인 설립 시 자동으로 발급된 UEN을 Customs 계정과 연결하는 절차입니다.
  • 이 절차가 완료되어야만 화장품 샘플이나 판매 물품을 합법적으로 수입할 수 있습니다.
  • 실무적으로는 CorpPass 이후 단계로 진행됩니다. 다만, 수입 시점이 멀지 않았다면, 코패스 등록과 시점 비슷하게 진행해도 무방합니다.


4. HSA(Health Sciences Authority) 등록

  • 싱가포르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화장품은 HSA에 제품별 온라인 등록을 해야 합니다.
  • 등록 시 성분표와 안전성 관련 자료를 제출해야 하며, 승인을 받아야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습니다.


5. 이커머스 플랫폼 입점 준비

  • Shopee, Tik Tok Shop, LazMall 등 주요 플랫폼은 현지 법인 자격을 요구합니다.
  • 신청 시 일반적으로 사업자등록증(BizFile), 은행 계좌 증빙, HSA 등록 완료 제품 리스트(요청 시), 현지 담당자 연락처(요청 시) 등의 자료를 준비해야 합니다.


6. 마케팅 및 자사몰 구축

  • Tik Tok 숏폼 콘텐츠와 인플루언서 협업을 통해 초기 유입을 극대화합니다.
  • Shopee 브랜드 데이, 11.11·12.12와 같은 대규모 프로모션에 참여하면 매출 확대와 브랜드 인지도 강화에 효과적입니다.
  • 자사몰은 병행 구축하여 장기적으로 브랜드 충성 고객을 직접 관리하고,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구매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최종 순서 요약

법인 설립 및 은행 계좌 개설 → CorpPass 등록 → UEN Activation(세관) → HSA 등록 → 플랫폼 입점 → 마케팅 실행 및 자사몰 확장

Premia TNC가 필요한 이유

싱가포르 진출은 단순히 법인 설립과 HSA 등록에 그치지 않고, 계좌 개설·세관 절차·플랫폼 입점까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Premia TNC는 싱가포르 현지 전문가 팀을 통해 이 전 과정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합니다.

  • 법인 설립 & 계좌 개설: 싱가포르 자체 현지팀 통한 신속한 처리.
  • CorpPass · HSA 등록 대행: 현지 규제 이해와 절차 진행 경험.
  • 이커머스 진출 컨설팅: 연동 계좌 솔루션, 계좌·세무 관리, 사업 구조 최적화.
  • SEA 확장 지원: 싱가포르 법인을 거점으로 베트남·말레이시아 등 타국 시장 확장 시 당사 지사 네트워크로 지원

싱가포르는 K-뷰티가 동남아 전체로 확장하는 관문입니다. 이미 소비자 신뢰와 시장 수요가 충분히 검증되어 있으며, 플랫폼 인프라와 규제 환경도 성숙해 있습니다. 단순 직구 형태의 크로스보더 판매에 의존하기보다는, 현지 법인을 설립해 로컬 셀러로 자리 잡아야 장기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이후 자사몰 확장을 통해 고객 데이터를 직접 확보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성장의 열쇠입니다.

복잡한 절차도 전문가와 함께라면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Premia TNC는 해외 법인 설립, 코패스·HSA 등록, 회계/세무 지원까지 K-뷰티 기업의 싱가포르 진출을 위한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입니다.

지금 바로 “싱가포르 K-뷰티 진출 로드맵”을 시작해 보시기 바랍니다.

[무단복사 및 재배포 금지] ⓒ2025 Premia TNC. All rights reserved.
이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사전 승인 없이 복사, 재배포, 2차 가공이 금지되며, 위반 시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 컨설팅 문의하기

비즈니스 / 컨설팅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