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자산가들, 조용히 싱가포르로 떠난 이유는?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이전

지금 싱가포르로 향하는 인도네시아 부자들 – 통계로 보는 흐름

Henley & Partner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약 3,400명의 고액자산가(HNWI) 가 싱가포르로 순유입되었고, 2024년에도 약 3,500명이 순유입될 것으로 추산되어, 싱가포르는 전 세계에서 HNWI 유입 규모 3위를 기록했습니다.

싱가포르 내 프라이빗 뱅킹·패밀리오피스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유입된 HNWI 중 상당 비율이 인도네시아, 중국, 인도 등 아시아 국적임이 분명히 관찰되고 있습니다.

특히 싱가포르 통화청(MAS)과 싱가포르 금융산업청(EDB)은 싱가포르에 등록된 Family Office(가족사무소) 수가 2020년 400곳에서 2023년 말 기준 1,650곳 이상으로 급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실제로 싱가포르의 Private Banking 업계에서는 “최근 설립되는 패밀리오피스(Family Office) 가운데 인도네시아 자산가들이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다음 세대로의 이전(wealth succession)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도네시아 국세청(DJP) 발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에서 해외로 유출된 자산 규모가 약 US$250 billion(2,500억 달러) 로 추산되며, 이 중 가장 큰 비중의 목적지가 싱가포르라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출처: Business Times Singapore, DJP, Bloomberg 인용, 2023년)

▶ 핵심 포인트 요약

  • 싱가포르는 2023~2024년 HNWI 순유입 세계 3위
  • Family Office 수, 3년간 4배 이상 증가 (400 → 1,650곳)
  • 정치·경제 리스크 분산/ 자산보호 및 세대이전 설계/ 외환 통제 회피 이유로 인도네시아 자산가가 싱가포르로 이전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 자산 해외 유출액 ≈ US$250 billion이며, 주요 유입처는 싱가포르

왜 싱가포르인가 – 자산 보호·법인 설립·이민의 3대 축

많은 인도네시아 자산가와 기업가들이 “싱가포르는 단순히 세금이 낮아서 가는 것 아니냐?” 라고 묻습니다.

그러나 실제 이유는 훨씬 더 복합적입니다. 싱가포르는 단순한 저세율 국가가 아니라, 자산을 안전하게 지키고, 사업을 글로벌로 확장하며, 가족의 미래까지 설계할 수 있는 최적의 선택지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왜 싱가포르를 선택하지 한눈에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분야

핵심 포인트

① 자산 보호

  • – 상속세·증여세 없음
  • – 신탁 및 재단 설계 안정적
  • – 외환 규제 없음
  • – 싱가포르 달러(SGD) 안정적

② 사업 환경

  • – 법인세 17%- 배당소득세 없음
  • – 외국인 100% 지분 소유 가능
  • – 글로벌 신뢰도와 규제 투명성

③ 이민·거주

  • – GIP(투자이민)으로 영주권 취득 가능
  • – EP(전문가 비자), EntrePass(스타트업 비자) 등 선택지 다양
  • – 가족 동반 및 자녀 국제학교 진학 유리

이처럼 싱가포르는 자산가들의 안정적인 자산 보호, 기업가들의 글로벌 사업 확장, 그리고 가족의 미래 설계까지 세 가지 목표를 한 번에 이룰 수 있는 매우 드문 도시입니다.

인도네시아 내에서만 자산을 유지하거나  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점점 더 리스크가 커지는 지금, 싱가포르라는 선택은 단순히 트렌드가 아니라 필수적인 전략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자녀 교육과 글로벌 진출의 최적화 허브

많은 인도네시아 자산가와 기업가들이 싱가포르를 선택하는 가장 현실적인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자녀 교육’입니다.

특히 영어권 국제학교 밀집도, 글로벌 대학 진학 실적, 안정적인 치안은 아시아 다른 어떤 도시도 따라올 수 없는 싱가포르만의 경쟁력입니다.

싱가포르 국제학교 현황 (2025년 기준)
  • 싱가포르에는 약 60개 이상의 국제학교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다수는 영국·미국·국제 바칼로레아(IB) 커리큘럼을 제공합니다.
  • 학비는 연간 SGD 25,000 ~ SGD 50,000 수준으로 홍콩, 중국, 두바이에 비해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편이지만, 교육 품질 만족도는 아시아에서 가장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출처: ISC Research, 2025)
싱가포르 내 주요 국제학교 순위 및 명성

아래는 2024-2025년 ISC Research와 Global IB Schools Ranking 등을 참고해 싱가포르 내 대표적 국제학교를 소개한 표입니다:

학교명

특징

2024-25 평가 포인트

United World College (UWC)

IB 명문. 전 세계 18개 캠퍼스 중 하나.

싱가포르 IB 평균 36.5점, 세계 평균 30.24점보다 높음

Anglo-Chinese School (ACS International)

영미 혼합 커리큘럼. 싱가포르 토종 명문.

영국·미국 명문대 다수 진학 사례

Dulwich College Singapore

영국계 명문. 예술·스포츠 프로그램 강세.

2024년 ISC 연구 “Parent Satisfaction Index” 1위

Canadian International School (CIS)

IB, 캐나다식 커리큘럼 혼합.

글로벌 대학 진학률 96% 이상

Tanglin Trust School

영국식 커리큘럼. 역사가 매우 깊음.

ISC Research “Academic Achievement” Top Tier

Singapore American School (SAS)

북미식 커리큘럼. 아시아 최대 규모.

미국 아이비리그 진학률 아시아 내 최고 수준

아시아 내 경쟁력 비교
아시아 내 경쟁력 비교

“자산은 보호하고, 자녀는 글로벌 인재로 키운다.”

싱가포르는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아시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도시입니다. 특히 인도네시아 자산가들에게는 자녀 교육과 영주권 설계가 맞물려 매우 중요한 선택이 되고 있습니다.

최신 수치 기반 비교 (2024-25 기준)

항목

싱가포르

두바이

홍콩

인도네시아

자산이전 자유도

매우 높음

높음

높음

낮음

외환 규제

없음

없음

없음

있음

상속세/증여세

없음

없음

없음

없음 (그러나 조사 리스크 존재)

법인세율

17%

9%

16.5%

22%

글로벌 신뢰도

매우 높음

높음

높음

낮음

HNWI 순유입 예상 (2025)

+1,600명

+6,700명

+2,100명

순유출 추정

국제학교 수 (2024)

약 60개

약 60개

약 53개

상대적 부족

  • 싱가포르
    • 자산 이동 자유도가 매우 높고 법적·세무적 안정성이 세계 최상위 수준
    • Henley & Partners에 따르면, 높은 경쟁국들의 적극적인 유치 활동과 규제 강화(예: Family Office 신규 요건 강화) 로 인해 2025년 예상 HNWI 순유입은 +1,600명으로 다소 감소세를 보일 전망

  • 두바이
    • 2025년 예상 HNWI 순유입은 +6,700명으로 세계 1위 전망
    • 법인세가 9%로 매우 낮고, 빠른 비자 발급 가능
    • 정치·문화적 환경이나 금융 규제 체계가 싱가포르만큼 안정적이지 않다는 평가

  • 홍콩
    • 코로나 이후 반등하며 2025년 예상 순유입 +2,100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다만, 일부 싱가포르보다 정책·규제 면에서 신중함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음

  • 인도네시아
    • 상속·증여세는 없으나, 자산 이동과 해외 자산 신고 의무가 엄격해 실제 자산이전의 실질적 자유도는 매우 낮음.
    • 루피아 약세와 외환 통제의 부담

주목할 점은, 싱가포르로의 HNWI 유입은 여전히 아시아 내 최상위권이지만, 2025년부터 그 속도가 둔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두 가지를 의미합니다.

  1. 싱가포르 규제 강화 → Family Office, GIP 투자금 요건 등 까다로워질 수 있음
  2. 경쟁국들의 부상 → 두바이, 홍콩 등 다양한 옵션 등장으로 싱가포르의 독점적 위치 약화 가능성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더 높은 비용, 더 많은 서류 요구, 더 까다로운 심사를 감수해야 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 전문가와 맞춤형 준비 필요성

싱가포르 진출을 고민하는 많은 인도네시아 자산가와 기업가들이 “그냥 법인만 세우면 되는 것 아닌가?”라고 묻곤 합니다. 그러나 단순히 법인을 설립하거나 부동산을 매입하는 것만으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산 이전이나 비즈니스 구축이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싱가포르 진출은 다음과 같이 여러 요소가 유기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입니다.

싱가포르 진출 시, 반드시 필요한 전략적 준비 항목
  • 자산의 출처 대비 준비
    → 자산이 어떻게 축적되었는지, 어느 국가의 과세 대상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투명하고 합법적으로 이전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해야 합니다.

  • 세대이전 및 상속 준비
    → 단순한 계좌 이전이 아니라, 세대이전이나 상속을 대비하기 위한 신탁, 펀드 등 다양한 법적 수단을 검토해야 합니다.

  • 자녀 교육과 동반비자 전략
    → 비자 종류에 따라 가족 동반 여부가 달라지며, 자녀의 국제학교 입학과 연결해 준비해야 합니다.

  • EP, GIP 등 이민 루트별 준비
    → 전문가 비자(EP), 투자이민(GIP), 스타트업 비자(EntrePass) 등 상황에 맞는 비자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 법인 설립 및 운영, 회계·세무 관리
    → 법인을 설립한 후에도 회계, 세무 신고, 현지 규제 준수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 싱가포르 현지 커뮤니티 연결
    → 현지 네트워크 구축은 사업 기회뿐 아니라 생활 정착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프레미아 티엔씨가 도와드리겠습니다!

고객 맞춤형 싱가포르 진출 준비를 지원하며, 법인 설립부터 비자·이민 전략, 세무·회계, 운영 관리까지 원스톱 솔루션으로 함께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진출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지만, 법적·세무적 요건을 간과하거나 절차를 소홀히 하면 비자 거절, 과세 이슈, 자금 이동 제한 등 심각한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초기부터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장기적 안정과 비용 효율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한국 떠나 싱가포르로 이민했어요” – 사업부터 가족 이주까지 리얼 후기

“한국 떠나 싱가포르로 이민했어요” – 사업부터 가족 이주까지 리얼 후기

양도세·증여세 없는 나라로 이주하는 한국 자산가들 싱가포르·홍콩·두바이를 주목할까?

양도세·증여세 없는 나라로 이주하는 한국 자산가들, 왜 싱가포르·홍콩·두바이를 주목할까?

[무단복사 및 재배포 금지] ⓒ2025 Premia TNC. All rights reserved.
이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사전 승인 없이 복사, 재배포, 2차 가공이 금지되며, 위반 시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 컨설팅 문의하기

비즈니스 / 컨설팅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