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미아 티엔씨 홍콩 웨비나 – 금융 정보 자동 교환 협정 (CRS) 및 법인 계좌 솔루션

CRS 란?

1.전 세계적인 공조를 따르기 위해 2017년부터 홍콩의 금융기관(은행, 증권사, 보험사 및 금융 감독원의 허가를 받은 모든 금융기관)들은 공통 보고 기준(“CRS”)을 바탕으로 기존 및 신규 금융 정보를 과세당국에 제출해야 합니다.

2.금융기관은 보고 대상자 여부를 확인하여 홍콩 세무국에 보고하며, 홍콩 세무국은 2018년 말에 첫 번째 정보교환을 시행했습니다.

CRS 보고 대상자

CRS 보고 대상자

교환되는 정보

금융기관은 본인확인서( CRS Self-Certification)를 통해 아래의 금융정보 수집하여 보고하게 됩니다.

개인 계좌

Passive NFE with Controlling Persons

•이름

•주소 (현재 거주 주소 혹은 우편물 수령 주소)

•출생지

•생년월일

•세금 납부 국가

•납세자 번호

•금융 정보: 계좌 잔액, 투자 수익, 금융 자산의 판매수익

•이름

•사업장 주소지

•우편물 주소지

•출생지 (실질적 지배자)

•생년월일 (실질적 지배자)

•납세 대상 국가

•납세자 번호

•설립 국가 (법인)

•설립 형태

•실질적 지배의 형태 (지분, 등기이사 등)

•금융 정보: 계좌 잔액, 투자 수익, 금융자산의 판매수익

홍콩 회사 운영 및 유지 바로가기
홍콩 가상 오피스 바로가기
On Key

최근 게시글

싱가포르 직원 채용 리스크, 핵심 대응 가이드

최근 싱가포르의 낮은 세율과 기업 친화적인 제도가 한국에도 널리 알려지면서 현지에 진출하는 국내 기업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 또는 법인이 싱가포르에 신규로 설립한 법인은 2015년 71개에서 2024년 159개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지난 10년간 누적 설립 건수가 1,291개에 달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베트남, 중국, 일본에 이어 다섯번째로 높은 수치로, 싱가포르가 글로벌 진출의 전략적 거점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싱가포르로 진출하는 이유

한국 기업들이 싱가포르로 진출하는 이유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이제 국내 시장을 넘어 글로벌 온라인 판매로의 확장은 선택이 아닌 필수 전략이 되었습니다. 특히 K-뷰티, K-푸드, K-패션 등 한국의 우수한 상품들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소비자에게 손쉽게 소개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동남아시아의 허브인 싱가포르가 있습니다.

비즈니스 / 컨설팅 문의하기

비즈니스 / 컨설팅 문의하기